전체글
일상
코딩
게임
블로그 운영
IT
여행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JSP 호스팅을 해보자 3장 - 자바, 톰캣 설치하기

 지난 글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리눅스 센트OS)에 외부접근이 가능하도록 공인IP 신청과 ACG 설정, 방화벽 설정 등을 하고 외부에서 DB 접속 툴을 사용해서 MariaDB에 접속해봤습니다. 
 이번에는 JSP 호스팅을 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톰캣 서버를 한 번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JSP 호스팅을 해보자 3장 - 자바, 톰캣 설치하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로고


리눅스 JAVA JDK 설치 및 확인

 톰캣을 구동하려면 우선적으로 JAVA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에는 기본적으로 JDK가 설치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치하도록 합니다.


jdk 다운로드


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8-downloads-2133151.html


 자바 JDK를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오라클 자바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윈도우에서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동의를 한 다음에, Linux x64.rpm 파일의 링크 주소를 복사합니다.




 링크 주소를 복사한 다음 PuTTY를 통해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합니다. 그 다음 아래에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get -c http://자바 JDK 다운로드 주소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jdk를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 오라클에서 jdk.rpm 파일이 다운로드가 되지 않습니다.




 어쩔수 없이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직접 jdk.rpm 파일을 서버에 올려야합니다. FTP 프로그램은 개인적으로 WINSCP 프로그램을 추천합니다. 관련 정보는 https://hanazuou.tistory.com/171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TP 프로그램에서 포트포워딩 외부접속 IP포트를 입력하고, 관리자 ID(root)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접속을 합니다. PuTTY 에 접속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윈도우에서 직접 jdk-linux-x64.rpm 파일을 받은 후에, 리눅스 /home 폴더로 옮겨 놓습니다.




 다시 puTTY로 넘어가서 /home 폴더로 이동합니다.

 cd /home

 

 /home 폴더에서 ls 라고 치면 jdk-linux-x64.rpm 파일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jdk 파일을 설치하도록 합시다. 아래에 명령어를 치면 jdk 파일 설치가 시작됩니다.


rpm -ivh jdk-linux-x64.rpm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제대로 자바가 있는지 확인해볼 차례입니다.


alternatives --config java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설치된 자바의 종류가 나오고, 마지막에 사용할 자바의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자바를 사용하게 됩니다. 자바의 경우 버전별로 다중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자바 버전을 사용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제 자바가 제대로 설치되었으며, 자바 컴파일러 작동에도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봅시다.


javac -version


 위에 이미지처럼 자바 버전이 제대로 나온다면 정상 설치된 것입니다. 이렇게 나오는 경우에는 자바와 관련된 환경변수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만약 자바 버전이 출력되지 않는다면 리눅스 자바 환경변수 설정에 관한 검색 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리눅스 톰캣 설치 및 구동


 먼저 톰캣을 설치할 폴더인 /usr/local 로 이동합시다.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다음으로 톰캣 홈페이지에서 설치할 톰캣 버전을 선택한 후, Core에서 tar.gz 파일의 링크 주소를 복사합니다. 개인적으로 Tomcat 8.0 버전을 아주 신뢰하고 있기 때문에 8.0 버전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조금 전, 자바 다운로드와 비슷합니다. puTTY에서 wget -c 톰캣 다운로드 주소 링크를 입력합니다.


wget -c http://톰캣-8.0.53.tar.gz




 톰캣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도록 합시다. 


tar -zxf /usr/local/톰캣-8.0.53.tar.gz


 압축을 풀고 ls를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압축이 풀렸는지 확인을 합니다.




 이제 root 계정이 톰캣 폴더에 접근해서 읽고 쓰기를 할 수 있게 권한을 줍니다.


chown root: /usr/local/톰캣-8.0.53




 권한을 준 다음에, 외부에서 톰캣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방화벽을 풀어주도록 합시다. 톰캣의 기본 포트는 8080입니다. 방화벽 설정방법은 마리아DB를 할 때와 동일합니다. 포트 번호만 달라집니다.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firewall-cmd --reload




 마지막으로 톰캣을 구동시켜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차례입니다. 톰캣 폴더에 있는 bin 폴더의 startup.sh 파일을 실행시킵니다.


/usr/local/톰캣-8.0.53/bin/startup.sh


 bin 폴더에서 실행시킬 경우에는


./startup.sh


이렇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윈도우에서 웹브라우저를 띄우고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공인IP:8080 를 입력하면 톰캣 ROOT 화면이 나타납니다. 만약 이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ACG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톰캣에 JSP 호스팅 하기


 이제 톰캣이 작동이 되니, 운영할 JSP 웹사이트를 호스팅해보겠습니다. FTP 프로그램에 접속을 한 후에, /usr/local/tomcat/webapps 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이클립스나 스프링에서 JSP 프로젝트를 WAR로 export 하고 생성된 WAR 파일을 올립니다.

저는 naverCloud.war 파일을 올렸습니다. 이 상태에서 톰캣이 구동 중이라면 자동으로 컴파일 후 매핑을 합니다. 위에 이미지처럼 naverCloud 라는 폴더가 자동으로 생깁니다.




 약 1분정도 뒤에 컴파일, 매핑이 끝나면 웹브라우저에서 http://공인IP:8080/war_파일명으로 접속을 해봅니다. 저의 경우 http://106.10.46.218:8080/naverCloud 가 주소입니다.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면 호스팅된 JSP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가 나타나게 될겁니다.




 여기서 주소 뒤에 war 파일명을 입력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싫은 경우에는 war 파일명을 ROOT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naverCloud.war 파일을 ROOT.war로 변경했습니다.

 


tomcat root 화면


 파일 수정 후, 톰캣의 컴파일, 매핑 작업이 끝나면 http://공인IP:8080 만으로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